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웹브라우저
코드명 프로젝트 스파르탄 웹 브라우저로 개발이 진행 중이었는데 정식명칭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로 이름이 붙어졌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국내 사이트는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엣지 브라우저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가 많습니다.
( 아래 스크린샷은 프로젝트 스파르탄 화면을 캡처한 것입니다. )
참고로 기존의 인터넷 익스폴로러가 삭제 된 것은 아니고 IE 11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멀티 데스크톱
윈도우 10 부터 멀티 데스크톱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왼쪽 하단에 네모박스 모양의 버튼이 있는데 클릭을 하고, 새 데스크톱 추가 버튼을 눌러서 새 데스크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데스크톱이 여러개 생성이 가능해지면서 데스크톱 별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관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데스크톱에 포함 된 윈도우 창을 다른 데스크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 참고로 멀티 데스크톱 기능은 윈도우 2000 시절부터 윈도우 내부적으로 API로 이미 들어가 있다가 드디어 엔드 유저가 사용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추가 되었습니다. )
시작 메뉴의 변화
윈도우 8이 처음 나왔을 때 시작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화면으로 메트로 화면이 떠서 많은 사용자들을 빡치게 만들었는데 이전 시작 메뉴와 비슷하게 시작 메뉴가 변경되었습니다.
물론 윈도우 7과 같이 완전히 똑같은 시작 메뉴는 아니고 메트로 UI ( 라이브 타일 )이 혼합 된 시작 메뉴입니다.
또한 추가로 윈도우 로그인 시 전체 화면의 메트로 UI가 윈도우 8에서 떠서 마찬가지로 많은 사용자들이 빡쳤는데 윈도우 10에서는 로그인 후 바로 데스크톱으로 진입합니다.
앱 스위칭 시 UI 변화
Alt + Tab 을 누르면 나오는 앱 스위칭 UI가 아래처럼 좀 더 커졌습니다.
참고로 윈도우 비스타 때 Alt + Tab 을 누르면 Flip 3D 뷰 형태로 나와서 많은 사용자들이 굉장히 짜증나 했었고 윈도우 7에서 정신차리고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왔는데 여기서 좀 더 업그레이드 하여, 앱 스위칭 UI를 키워서 가독성을 높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작업 표시줄 하단에 검색 기능 추가
아래 처럼 윈도우 시작 버튼 바로 오른쪽에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검색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뜹니다.
현재 설치 된 앱, 열려있는 윈도우 탐색기 창 그리고 웹 검색을 지원합니다. 기본 웹 검색엔진은 빙(Bing) 입니다.
DirectX 12 추가 및 XBox One 라이브 스트리밍
DirectX 12 가 추가되었고, XBox One 으로 플레이되는 게임을 윈도우 10이 설치 된 태블릿 또는 PC로 스트리밍을 지원합니다.
또한 XBox 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이제부터 윈도우 10을 사용하게 될 예정입니다.
윈도우 탐색기의 바로가기 기능
윈도우 탐색기 왼쪽 상단에 바로 가기기능은 윈도우 8에 있던 즐겨찾기 기능과 비슷하나 약간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바로 가기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자주 사용하는 폴더나 최근에 사용한 파일이 표시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하드웨어 지원
윈도우 10은 라즈베리파이를 지원합니다.
개인비서 "코타나"
음성인식을 통해서 사용자가 명령을 내릴 수 있는데 안타깝게도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아서 현재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아마 앞으로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서 지원이 되거나 할꺼 같습니다.
'인터넷/IT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캠을 이용하여 인강 녹화하는 방법 ( 녹화 방지우회 ) - 2015.11.25 (541) | 2015.11.25 |
---|---|
USB 메모리에 설치 된 윈도우 10이 윈도우 업데이트가 안되는 문제 해결방안 (0) | 2015.11.13 |
한글 2014 (오피스)뷰어가 드디어 공개되었네요. (0) | 2014.02.20 |
IE9 이상으로 브라우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크롬, 파이어폭스 등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세요.